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워싱턴지역 주택 시장 붕괴?

최근 연방정부 공무원 감축 정책의 여파로 워싱턴지역 주택가격이 폭락할 것이라는 주장이 대두되고 있으나, 전문가들은 폭락에 대한 우려에도 불구하고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인스타그램과 틱톡 등을 통해 주택 시장 붕괴론이 나오고 있으나 리스팅 기관 브라이트 MLS의 리사 스튜터번트 수석연구원은 “현재 데이터를 살펴보고 있지만 아직은 말하기 이르다”면서도 “분명히 사실은 시장이 붕괴되고 있지 않으며 그런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징후도 거의 없다”고 밝혔다.    스튜터번트 연구원은 “본격적인 폭락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시장이 조금씩 약화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즉, 주택 가격이 소폭 하락하면서 바이어의 선택 폭이 더  넓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현재 워싱턴 지역 주택 가격 폭락을 막는 핵심 요인은 제한된 주택재고와 다양한 노동력이다. 이 지역의 많은 주택 소유주들은 상당한 자산을 축적하고 있어, 시장 폭락에도 좀처럼 주택을 투매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자산이 시장 변동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지역 주민의 상당수가 연방공무원이라는 사실은 틀림없다. 연방센서스국 자료에 의하면 워싱턴 메트로 노동력의 약 14%가 연방 공무원이다. 알렉산드리아/알링턴(20%), 프린스 윌리엄/페어팩스 카운티(13%),워싱턴DC(13%) 수도권 메릴랜드(7%) 등 연방공무원은  지역경제의 큰 기둥이다. 하지만 대량 해고에도 불구하고 다른 산업이 충격파를 흡수하고 있다.   최근 북버지니아를 중심으로 리스팅 매물이 증가하고 있기는 하다. 특히 알렉산드리아에서는 매물이 46% 증가했으며 프린스 윌리엄, 알링턴, 페어팩스 카운티에서도 급등세를 보였다. 봄철 성수기를 대비한 계절적 요인도 있긴 하지만, 바이어 입장에서는 매수 호기로 작용하고 있다. 스튜터번트 연구원은 “매물이 늘어나면서 시장 균형에 가까워지면서 바이어에게 좀더 유리해지고 있다” 고 평가했다.   하지만 페어팩스나 몽고메리 카운티에서는 싱글하우스 매물이 여전히 부족하여 셀러가 주도권을 쥐고 있다. 최근 셀러들이 경쟁력 유지를 위해 가격을 조정하고 있다. 스튜터번트 연구원은 “불확실성 시기 임은 틀림없지만, 시장 붕괴 초기 단계라는 평가는 맞지 않다”고 전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워싱턴지역 시장 워싱턴지역 주택가격 주택 시장 시장 폭락

2025-03-31

워싱턴지역 주택가격 6.7년치 소득

    워싱턴 지역에서 주택을 구입하기 위한 소득수준이 갈수록 올라가고 있다.   비영리 씽크 탱크 도심개혁연구소와 공공정책위한전진센터의 '세계 주택 구입 을 위한 경제력 부담 보고서에 따르면, 중간소득의 미국 가구는 중간 연소득 5년치로 주택을 구입할 수 있지만, 워싱턴 지역은 6.7년치가 필요했다.   6.7년 동안 한푼도 쓰지 않아야 100% 올 캐쉬로 주택을 살 수 있다는 뜻이다. 10년전 워싱턴 지역의 이 지수는 5.9년 드(10.8년), 샌프란시스코(10.7년),런던(8.7년)이나 뉴욕(7.1년) 등의 순이었다.   주택구매능력을 나타내는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PIR)은 주택가격을 가구당 연소득으로 나눈 것으로, 내 집 마련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나타내 주는 지표다.   이 지표를 토대로 각 도시에서 구입가능한 주택의 정도를 파악하게 된다. 최근 주택가격 상승률과 소득 상승률의 격차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주택의 구입가능성은 도시에서 삶의 질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의 비율이 3배 정도를 이상적인 상태로 간주한다.   전문가들은 합리적인 가격의 주택이 대량 공급되고 중저소득층의 자가 소유 촉진을 위한 지원방안이 나오지 않는다면 워싱턴 지역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김윤미 기자 [email protected]워싱턴지역 주택가격 워싱턴지역 주택가격 최근 주택가격 워싱턴 지역경제

2023-07-2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